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1다27624, 27631(병합)

선고일자:

1992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환송 전 원심판결 중 재산상 손해부분에 관한 원고 패소부분에 대한 파기이유가 여러 개의 손해항목 중 하나에 관한 판단을 유탈하였다는 것인 경우 환송 후 원심의 심판범위(=재산상 손해 중 원고의 패소부분 전부)

판결요지

원고의 청구가 피고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원고에게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것으로서 그 내용이 여러 개의 손해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위 각 항목은 청구를 이유 있게 하는 공격방법에 불과하므로 환송판결이 환송 전 원심판결 중 재산상의 손해부분에 관한 원고의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원심에 환송하였다면, 환송판결에 의하여 재산상의 손해에 관한 원고의 패소부분에 관하여 다시 심리하여야 하는 원심의 심판범위는 피고의 불법행위로 인한 원고의 재산상 손해 중 원고의 패소부분 전부이고 환송판결에서 손해항목 중 하나에 관한 판단을 유탈하였음을 이유로 하였다 하여 그 손해항목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06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4.3.27. 선고 83다카1135,1136 판결(공1984,69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고합건설주식회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7.9. 선고 91나18905,18912(병합)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면 당원의 환송판결은 환송전 원심판결 가운데 재산상의 손해부분에 관한 원고의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원심에 환송하였는바, 이 사건 청구는 피고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원고 소유의 이 사건 건물에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것으로서 그 내용이 소론주장과 같이 지하층구조 보강공사비, 하자보수공사비, 이 사건 건물의 경제적 가치 감소액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위 각 항목은 청구를 이유 있게 하는 공격방법에 불과하므로 당원의 환송판결에 의하여 재산상의 손해에 관한 원고의 패소부분에 관하여 다시 심리하여야 하는 원심의 심판범위는 피고의 이 사건 불법행위로 인한 원고의 재산상 손해 중 원고의 패소부분 전부이며 당원의 위 환송판결에서 지하층구조 보강공사비에 관한 판단을 유탈하였음을 이유로 하였다 하여 그 지하층구조 보강공사비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원심이 위 각 항목의 손해액과 이 손해가 확대된 데 대한 원고의 과실을 심리 산정한 조처는 정당하며,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과실상계의 비율도 적정한 것으로 여겨지고 거기에 소론지적과 같은 심판대상의 범위나 대상에 관한 법리오해 또는 사실오인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산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만 승소했을 때 항소심에서 청구 금액을 늘릴 수 있을까?

교통사고 손해배상 소송에서 재산상 손해는 전부 인정되었지만 위자료는 일부만 인정된 경우, 피해자가 위자료 부분에 불복하여 항소하면서 재산상 손해에 대한 청구도 늘릴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항소심에서 재산상 손해 청구 확장을 허용했습니다.

#교통사고#손해배상#위자료#재산상 손해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불복하지 않은 부분도 다시 판단할 수 있을까?

1심에서 일부만 승소한 경우 항소하면 전체 사건이 2심으로 넘어가 다시 판단 받게 되고, 항소하지 않은 부분도 확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항소하면서 특정 금액 이상에 대해서만 다투겠다고 한 경우, 그 금액에 대한 지연손해금도 다투는 것으로 봅니다. 2심에서 1심보다 적은 금액을 인정하면 그 금액 전체에 대해서는 2심 판결 선고일까지 높은 지연손해금 이율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일부승소#항소#심판범위#지연손해금

민사판례

공장 바닥 균열, 무조건 철거해야 할까? 보강공사 가능성 열어둬야

설계 잘못으로 공장 바닥에 균열이 생겼을 때, 무조건 철거 후 재시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보강공사로 충분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보강공사 비용만 손해배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

#공장 바닥 균열#손해배상#보강공사#철거

민사판례

건축 허가와 준공 검사 지연, 그 손해 배상은 어떻게?

공무원의 위법한 준공검사 지연으로 건축주가 손해를 입은 경우,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지지만, 그 손해 범위는 건물 사용·수익 불가능으로 인한 손해에 한정되며, 건물 매도 지연으로 인한 투자이익 손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배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준공검사 지연과 같은 계속되는 불법행위는 손해가 발생할 때마다 소멸시효가 새로 시작된다.

#준공검사 지연#국가배상#손해배상 범위#사용수익 불가능 손해

상담사례

항소심 일부 승소 후 상고심 파기환송, 이제 어떻게 되나요? 😥

항소심 일부 승소 후 상고심 파기환송으로 환송심에서 손해배상 청구를 교환적으로 변경하여 처음부터 다시 다투면서 더 많은 금액을 청구할 수 있지만, 새로운 청구는 기존 청구와 목적과 성질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파기환송#환송후원심#손해배상#부당이득반환

상담사례

우리 집 밑 굴착공사로 생긴 균열, 배상은 어떻게 받을까?

이웃집 굴착공사로 집에 균열 등 피해가 발생한 경우, 수리비 외 집값 하락에 대한 보상은 집값 하락의 구체적 이유와 가해자의 사전 인지 가능성을 입증해야 받을 수 있다.

#인접지 굴착공사#건물 균열#손해배상#수리비